티스토리 뷰
최근에 건강을 위해서 설탕대신에 대체제로 인공감미료를 많이 사용되고 있고, 많은 사람들이 대신해서 섭취를 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대체제가 아스파탐입니다. 아스파탐이 제로슈거 제품들에 많이 사용이 되고 있습니다. 오늘은 아스파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아스파탐이란?
최근 아스파탐은 식품업계에서 많은 관심을 얻은 인기 인공감미료입니다. 칼로리 없이 우리에게 달달함을 제공해 주기 때문에 설탕 대신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스파탐은 아미노산 아스파르트산과 페니알리닌으로 구성된 인공감리료로 설탕보다 약 200배 더 강한 단맛을 제공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을 포함한 많은 연구 및 규제 기관들이 아스파탐의 권장 수준 내에서 섭취를 해도 안전하다는 결과를 발표를 했었습니다.하지만 언제나 아스파탐이 인체에 유해하다는 주장들도 늘 함께 했었습니다. 이런 이 스파탐은 청량음료, 디저트, 껌 등 다양한 제품에서 설탕 대체물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아스파탐에 들어간 제품들
아스파탐이 들어간 대표적인 제품으로는 펩시 제로슈거와 코카콜라 제로가 될 것 같습니다.아무래도 0 칼로리를 강조하는 제품들에서 설탕을 대신해서 아스파탐을 많이 사용되는 것 같습니다.
펩시 제로 슈거
노브랜드 PB제품 제로콜라 & PB제품 스파클링
포카칩
대표적인 아스파탐이 들어간 제품들을 소개해드렸습닏다만, 대부분의 과자나, 탄산음료, 막거리 제품들에는 아스파탐 또는 인공감리료가 대부분 들어가 있습니다.
아스파탐이 들어간 제품들을 먹어도 되나?
최근 WHO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에 따르면 사람에게 암을 유발이 가능할 수 있는 물질(2B군)으로 분류한다는 뉴스가 들려왔습니다. 위험도 가능 높은 발암물질로는 담배, 석면, 가공육등이 여기에 해당하고, 다음으로 발암추정물질 2A군으로 고온의 튀김, 우레탄등이 발암추정물질에 해당합니다. 그다음이 바로 발암가능물질인 2B군으로 아스파탐 등의 물질입니다. 발암가능물질은 인체자료 및 동물자료가 제한적이고 충분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WHO내의 여러 산하기관들 사이에서도 아스파탐에 대한 발표들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는 아스파탐을 일일 제한량 이내로 섭취를 하게 되면 안전하다는 보고를 했었습니다. 성인 60kg의 사람인 경우 하루 12~36캔의 아스파탐이 들어간 탄산음료를 마셔야 위험하다는 보고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이번에 국제암연구소의 발표는 또 다르게 발표되었습니다. 더욱이 아스파탐을 포함한 인공감미료가 체중조절에는 크게 효과가 없으며, 장기적으로는 당뇨와 심장병을 일으킬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아직 아스파탐을 비롯한 인공감미료에 대한 더 많은 연구와 시간이 필요한 것 같습니다.
제로 음료 원료 아스파탐, WHO '발암가능물질'로 분류예정 - 주간조선
세계보건기구(WHO)가 제로 소주와 다이어트 콜라 등 많은 식품에 설탕 대신 사용되는 대표적인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암 유발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다. 현지시각 30일 로이터 통신에
weekly.chosun.com
시중 유통되는 막걸리 22종 성분 비교 - 코리아헬스로그
이번에 얻은 막걸리의 원료와 첨가물, 특징 등을 정리해보았습니다.행사 후 남아서 모아본 막걸리들. 1. 부산의 막걸리 생탁 (부산합동양조) 1) 제품 유형 : 생막걸리 2) 원료 : 쌀 80%, 소맥분 9%, 전
www.koreahealthlog.com
아스파탐 ‘발암 가능 경고’…국내 ‘제로’ 과자·음료는?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가 설탕을 대체하는 인공 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 가능 물질로 분류할 예정이라고 밝히면서 국내서 판매되는 ‘제로
news.kmib.co.kr
Don't use sugar substitutes for weight loss, World Health Organization advises | CNN
CNN — Don’t use sugar substitutes if you are trying to lose weight, according to new guidance from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global health body said a systematic review of the available evidence suggests the use of non-sugar sweeteners, or
www.cnn.com